안철수연구소가 스마트폰 보안 시장을 본격화 한다. 안연구소는 24일 자사 스마트폰 보안 소프웨어 전략 발표를 통해 안드로이드 기반 보안 솔루션을 처음 공개했다.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는 24일 서울프라자호텔에서 ‘스마트폰 보안 SW 전략 기자발표회’를 열고,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용 보안 솔루션 ‘V3 모바일(V3 Mobile)’을 처음 공개했다.

안철수연구소는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안드로이드폰용 보안 솔루션을 처음 공개했다. 제품 판매는 안드로이드폰 시장 활성화 이후가 될 것이란 설명이다. 아이폰 탈옥 여부를 체크해주는 보안 솔루션도 이날 함께 선보였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첫 선을 보인 안드로이드폰용 ‘V3 모바일’은 안드로이드 OS 기반 스마트폰에서 악성코드를 탐지/치료/삭제해주며, 동작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실시간 검사, 실행 파일과 SD카드 영역, 내장 메모리 등의 일반 파일의 수동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행위 기반 탐지 기법을 활용, 어플 설치 시 개인 정보 접근 권한을 과도하게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탐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폰 경우, 애플 아이폰과 달리 특별한 검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행위 기반 탐지는 알려지지 않은 악의적 어플을 예방하는 필수 요소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아이폰용 ‘V3 모바일+’ 경우, 아이폰의 탈옥(Jail Break) 여부를 체크해 준다. 아이폰으로 뱅킹, 증권 등을 할 때 탈옥 여부를 탐지, 안전한 거래를 보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이폰 경우, 폐쇄형으로 애플 앱스토어의 검증을 거친 어플만 내려 받는 정상 폰 경우, 악성코드 작동 가능성이 거의 없다. 반면 개방형 구조인 안드로이드 경우, 구글이 마켓만 열고 개입하지 않아 감염 우려가 높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안연구소는 스마트폰으로 뱅킹, 증권 등의 금융거래나 온라인 쇼핑/서점 이용 시 정보유출을 막아주는 ‘트랜잭션용 V3 모바일+(V3 Mobile+ for Transaction)’도 추가 개발 중이다. 안드로이드와 윈도 모바일 플랫폼에서 해당 거래를 하는 동안, 상주해 예방하는 기능을 상반기 차례로 출시할 예정이다.
안연구소는 스마트폰 보안 관련, 향후 안드로이드 기반 연구에 집중해 해당 제품을 스마트폰 제조사나 통신업체를 통해 공급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제품 판매와 관련, 아직 안드로이드폰 시장이 본격 형성되지 않아 초기 대응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회사측은 내다봤다.
김홍선 대표는 “해외에서도 안드로이드 경우, 아직 제품 출시가 본격화되지 않고 있는 상태로 일단 단말 보급 확대가 우선돼야 한다”며, “이 때문에 아직 제품 판매 형태는 정해진 바 없지만, 단말 제조업체나 통신사, 어플 배포업체 등과 협력 제공하는 형태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안연구소는 기존 모바일 보안 제품 브랜드를 기존 ‘안랩 모바일 시큐리티(AhnLab Mobile Security)’에서 ‘V3 모바일’로 변경, V3 브랜드를 PC 단위에서 모바일 보안까지 통합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