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토셀, ‘데이터 무제한’ 구할까?

      펨토셀, ‘데이터 무제한’ 구할까?에 댓글 닫힘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출시를 눈앞에 둔 SK텔레콤이 ‘데이터 펨토셀’을 통해 국지적인 데이터 트래픽 폭증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데이터 펨토셀((Data Femtocell)’은 SK텔레콤에 따르면, ‘극초소형 기지국’으로서 이른바 3G망을 이용하는 엑세스포인트(AP) 개념이다.유선단 3G 네트워크에 연결돼 소규모 커버리지 내 단말의 3G 데이터 이용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SK텔레콤은 19일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스마트폰 시대 모바일 데이터 급증에 따른 자사 네트워크 운용전략을 공개했다. 자사 네트워크 품질에 기반한 ‘데이터 하이웨이(Data Highway)’를 구축, 안정적으로 트래픽 증가를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Large Area’는 WCDMA나 LTE 등으로, ‘Middle Area’는 6섹터 솔루션 도입으로, ‘Small Area’는 펨토셀이나 와이파이로 대응하는 게 자사 네트워크 전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SKT 하장용 네트워크 부문장은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도입 시 'Large Area' 차원 망 전략 외 스팟 단위 데이터 급증에 대비하는 솔루션을 찾아야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데이터 펨토셀'과 와이파이를 꼽았다. 하 부문장이 자체 개발한 펨토셀을 직접 소개하고 있다.

이 날 SKT는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관련, 과부하 발생시에도 전체 가입자의 1%에 해당하는 초다량 사용자가 과부하 지역에 있을 확률은 0.01%에 불과하다”며, QOS 제한 등 서비스 ‘제한 가능성은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하장용 네트워크 부문장은 “만약 QOS 제한이 걸린다면, 이는 우리(엔지니어)가 (예측을) 잘못한 것”이라며, “자존심을 걸고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SK텔레콤은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도입 후 증가할 트래픽 소화를 위해 데이터 수요가 급증하는 이른바 ‘스팟’에 맞는 적절할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하 부문장은 ‘데이터 펨토셀’을 꼽았다.

하 부문장은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도입 시 수요 예측이 쉽지 않다”며, “FA(Frequency Assignment) 확대(4FA→6FA)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어 조기 LTE 도입방침을 내놓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네트워크 운용에 있어 ‘Large Area’ 개념과 함께 스팟 단위 망 전략도 가져가야 한다”며, “넷북이나 태블릿PC 등을 통한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이용에 대비해 해당 스팟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으로 SK텔레콤은 ‘데이터 펨토셀’과 ‘와이파이’를 앞세웠다. 하 부문장은 “펨토셀은 극초소형 기지국으로서, 3G망을 이용하는 AP 개념으로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출처: SK텔레콤

일부 개인판매도 허용하는 외국과 달리, SK텔레콤은 펨토셀을 자사 ‘스팟 단위 솔루션’의 일환으로 직접 회사 차원에서 운영을 맡는다. 이용자 경우, 추가 비용은 없다.

가정?직장?학교 등의 일반 초고속 인터넷 회선에 펨토셀 AP장비를 연결하는 구조로, SK브로드밴드 초고속인터넷 망이 활용된다. 회사측에 따르면 SKB 유선망은 도심지역 경우 전체 94%, 외곽을 포함할 경우 전체 84%에 기 구축돼 있다.

일부 타사 초고속인터넷 망과 물려 있는 경우 펨토셀 구축과 관련, 하 부문장은 “이는 타사에 요청해봐야 할 문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싼 비용을 지불할 용의도 있음을 내비쳤다.

SK텔레콤은 데이터 펨토셀을 금년 하반기부터 구축을 시작해 내년 말까지 약 5천~1만 국소에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또 다른 ‘보완재’로서 와이파이에 대해 SKT는 “전국 100만 국소를 설치해도 면적기준 전국의 0.1~0.3%에 불과해 모바일 인터넷 시대 주력 통신망이 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특히 보안과 이동성 미지원, 주파수 간섭 등 단점으로 활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KT를 겨냥했다. 하 부문장은 “와이파이를 커버리지 개념으로 접근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2G망 철거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하 부문장은 “가입자 마이그레이션 연동이나 망 운영비 측면, 번호통합 이슈 등 여러 변수가 있다”며, “네트워크 입장에서는 현재 다양한 망을 운영하고 있어 2G망이 빨리 철거되면 좋다”고 답했다.

이외 SK텔레콤은 WCDMA(HSPA+)와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해주는 개인용 DBDM(Dual Band Dual Mode) 브릿지를 10월 중 국내 최초로 출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Visited 53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