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내 LTE(Long Term Evolution) 상용장비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9월 메트로PCS에 이어, 18일 셀룰러사우스와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최근 미국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보편화로 인해 폭증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네트워크 증설과 차세대 네트워크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
이에 발맞춰 삼성전자는 LTE는 물론, 모바일 와이맥스 등 모바일 브로드밴드 토탈 솔루션으로 4G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18일, 미국의 2대 지역 이동통신 사업자인 셀룰러 사우스(Cellular South)와 LTE 상용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미국의 2대 지역 이통사인 셀룰러 사우스(Cellular South)와 LTE 상용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 김운섭 부사장과(왼쪽 두 번째), 셀룰러 사우스 CEO 후 미나(Hu Meena) (왼쪽 세 번째)가 계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이번 미국 내 LTE 장비 공급은 지난 9월, 메트로PCS에 LTE 토탈솔루션을 공급해 미국 최초로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두 번째다.
셀룰러 사우스는 2008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주파수 경매에 참가해 700MHz 대역의 주파수를 확보했다. 현재 알라바마, 미시시피, 플로리다 등 미국 남부지역에서 3G CDMA 기반의 음성과 저용량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셀룰러 사우스는 삼성의 LTE 네트워크 시스템과 휴대전화를 이용해 2011년부터 알라바마 지역에서 데이터, 음성 통화를 포함한 초고속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와 협력, 내년 초부터 필드 테스트를 추진한다.
셀룰러 사우스 CEO 후 미나(Hu Meena)는 “4G 이동통신시장에서 독보적 행보를 보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고객들에게 강력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풍부한 모바일 브로드밴드 경험을 제공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 김운섭 부사장은 “4G 기술에 대한 삼성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셀룰러 사우스가 미국 LTE 초기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9월 21일부터 미국 5대 통신사업자인 메트로PCS가 라스베이거스에서 시작한 LTE 서비스에 상용 시스템 장비를 공급, 미국 최초로 LTE 상용 서비스를 실시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LTE 시장 입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글로벌 마케팅 활동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힌 삼성전자는 지난 달 18~21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4G월드(4G World)’에서 LTE 상용 장비 등을 대거 선보이기도 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에 등록된 LTE 분야 신규 기술 유효 특허의 25% 이상을 보유하는 등 기술력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현재 LTE 기술 규격을 논의하는 3GPP 국제표준회의에서 핵심 워킹그룹(WG) 2개 의장단을 맡고 있으며, LTE 조기 상용화를 목적으로 사업자와 제조사가 결성한 LSTI(LTE/SAE Trial Initiative) 활동도 주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