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바야흐로 상용화 ‘무선충전’④인터뷰-WPC
‘호환성’ 확보, 이용 편의?시장 확대
자기유도기술 이용…5W 이하 휴대기기 ‘첫선’
회원사 표준개발 ‘한뜻’…안전?누전방지 ‘최선’
현재 ‘무선충전’ 표준화 작업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등에 의해 설립된 WPC(무선전력위원회, www.wirelesspowerconsortium.com)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12월 , TI 등 8개사에 의해 설립된 WPC의 목표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 국제적인 무선전력 표준을 제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호환성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시장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9월초 현재 회원으로는 TI, 풀톤 이노베이션(Fulton Innovation), 컨비니언트 파워(Convenient Power), 로지텍(Logitech), 내셔널 세미컨덕터, 필립스, 쉔젠 상훼이(Shenzhen Sangfei Consumer Communications), 산요, 올림푸스 9개 정규회원에 더해 삼성전자, 듀라셀, 호시덴(Hosiden), 레지드 앤 플랫(Leggett & Platt), ST-에릭슨이 ‘어소시에이트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 ? | ![]() |
? |
| ▲ WPC(무선전력위원회, www.wirelesspowerconsortium.com)는 호환성을 최대이점으로 무선충전 표준화 작업을 진행중이다. 충전패드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 ||
각 분야 선두업체의 회원사 참여로, WPC는 ‘무선충전(무선전력)’의 표준 개발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호환성은 물론, 안전과 전력 누수 등 제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업계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다음은 WPC와 서면으로 진행된 묻고답하기다. 질문과 답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Text100’의 임영빈 부장님 도움이 컸다.
Q1. WPC가 처음 설립된 배경은 무엇인가?
WPC: 시장을 넓히기 위해서 제품 호환성은 기업들에게 필수다. 즉, 브랜드, 장치, 모델 등에 상관없이 같은 기술표준을 사용, 공통의 충전단자로 충전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확보하면 보다 넓은 시장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Q2. WPC 프로젝트의 무선전력충전표준이 시장에 미칠 영향력은?
WPC: 사용자 편의성, 보다 낮은 가격, 그리고 보다 넓은 선택 범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Q3. WPC 프로젝트의 무선전력충전 표준이 다른 형태의 무선전력기술에 미칠 영향력은 무엇인가?
WPC: WPC는 배타적이라기 보다는 포괄적이다. 위원회는 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이 글로벌표준에 맞는 입력 장치를 선택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의 수도 더욱 많아지게 될 것이다.
Q4. WPC의 활동이 자칫 특정 사업군을 시장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WPC의 표준을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 도태되거나 시장에서 소외될 가능성도 있지 않나?
WPC: 애초에 WPC는 시장에 출시된 제품과 솔루션에 맞는 최상의 표준을 만들어 모든 사업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옵션과 기회가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로 설립됐다.
Q5. WPC의 기술표준은 언제부터 적용이 가능한가?
WPC: 공개 전까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정이 남아있다. 각 전자기기 분야에서 선두위치에 있는 기업들이 현재 WPC의 회원사로 등록돼 있다. 선두위치에 있는 이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시장에 대한 노하우와 전문 기술들이 WPC 표준 제정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퀄리티와 호환성은 WPC가 내세우고 있는 기술표준의 핵심 가치이다.
Q6. 이 표준이 언제쯤이면 상품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나? 무선전력기기 혹은 호환 솔루션을 구입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쯤인가?
WPC: 무선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써 선보이게 될 것이다. 위원회의 목표는 전자 기기에 호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WPC에서는 제품 제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자세한 사항은 제조업체나 해당기업에 문의해 표준화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Q7. 다른 표준에 대항해 세계적 표준으로서 발돋움할 기회를 확보할 방안은 무엇인가?
WPC: 위원회는 각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 그룹을 한데 모아서 최상의 표준을 만들어내는데 주력하고 있다. 결국, 소비자들이 위원회의 표준과 기술을 사용한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표준화의 성패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Q8. 표준화 제정 이후, 적용 가능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WPC: 편의성과 무선전력충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강력한 욕구가 그 유도제로 작용돼 결국 기술표준이 광범위한 시장에서 채택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Q9. WPC의 기술표준이 다른 기술들에 비해, 특히 이미 시장에 출시된 기존 제품들에 비해서 갖는 경쟁적인 이점은 무엇인가?
WPC: 각각의 기술은 WPC 표준이 목표하는 바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위원회의 목적은 서로 다른 제품끼리도 서로 호환이 될 수 있도록 그 표준을 제정하는 것이다. 즉, 호환성이 우리 기술 표준이 갖는 최대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Q10. 무선전력이란 무엇인가?
WPC: 전자기적인 연결이나 선 없이 전력을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자세한 답변은 위원회의 공식 웹사이트(www.wirelesspowerconsortium.com)를 참조하길 바란다.
Q11. 기술표준은 어떤 원리로 실제 전자기기에 적용되는지? 전기코일이나 어댑터, 배터리 같은 것들을 통해 충전이 이뤄지는 것인가?
WPC: 위원회는 전력 송신을 위해 직접 접촉이 필요 없고 근접도가 좋은 자기유도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직접 접촉이 필요 없고 근접도가 좋은 자기유도방식으로 코일을 통해서 전력이 전달된다. 기술이 직접 전자기기에 적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어댑터 형태로 구현된다.
Q12. 그렇다면, 충전이 필요치 않을 때에도 전력이 계속 공급될 여지가 있지 않나?
WPC: 이 충전방식은 기술표준의 형태로 더욱 구체화 될 예정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기술표준 시험단계가 완료되는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안전에 대한 이슈는 위원회의 표준제정에 있어서 첫 번째 주안점이다.
Q13. 블루투스나 와이파이(WiFi) 원리와 비슷하다고 보면 되나?
WPC: 둘 다 세계적으로 성공한 표준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이 두 표준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고, 전력을 송신 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Q14. 표준 채택에 적합한 특정 타입의 전자기기가 있나?
WPC: 충전이나 전력공급이 필요한 어떤 종류의 전자 기기에라도 채택이 가능하다.
Q15. 기술표준 적용으로 공급 가능한 전력량과 그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WPC: 처음 도입 단계에서는 5와트(W) 이하의 저전력이 공급될 것이다. 즉, 대부분 휴대할 수 있는 이동식 기기에 적합하다.
Q16. 표준 규격과 실직적인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옵션을 마련해 놓고 있나?
WPC: 호환성은 위원회 기술 표준의 핵심요소이다. 다양한 규격 및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Q17. 얼마만큼 안전한 솔루션이라고 봐야 하나? 어떠한 안전상의 이슈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어느 정도 확신하고 있는지? 가령 무선전력기술과 관련해 발암성 유무에 대한 우려는 없나?
WPC: 이 기술의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는 자기유도기술은 100여 년이 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 현재 출시된 다수의 제품들이 도입하고 있다. 또한 WPC는 전력 효율성 기준 및 소비자 안전기준에 미달하는 표준을 채택하지 않는다.
Q18. 무선으로 전자기기를 충전할 때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WPC: 휴대용 기기의 경우, 현재 충전에 걸리는 시간과 엇비슷하거나 더 빠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Q19. 무선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전력량은 어느 정도인가?
WPC: 5 W 이하 정도.
Q20. 충전사양이 다른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고자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충전이 되는 건지?
WPC: 여러 개의 전자 기기에 대한 충전 기능은 기술 표준안에 반영될 것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기술표준 시험단계가 완료되는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Q21. 연결 및 충전을 위해서는 전자기기와 전력 단자가 얼마나 가까워야 하나?
WPC: 효율적인 에너지 송신 범위는 기술표준에 명시될 예정이다.
Q22. 무선전력기술과 관련, 전력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나?
WPC: 전력송신과 관련해 전력누수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위원회의 목표는 이 손실량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Q23. 자성을 띤 코일이 자칫 하드드라이브를 손상시킬 위험은 없나?
WPC: 전혀 없다. 기술표준이 공개되기 전까지 하드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어떤 방해 요소라도 제거하기 위해 위원회에서는 광범위한 테스트 절차를 계획하고 있다.
Q24. 전력 단자에 들어갈 코일의 최소 규격은 얼마인가?
WPC: 코일 규격에 대해서는 기술표준에 명시될 예정이다. WPC는 기기 디자인에 있어서 제조업체에 최대한의 선택권과 자유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Q25. 기기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는 현재 추세에도 충전이 필요한 기기라면 기술 표준안에 수면모드가 포함되나?
WPC: 기술표준 안에 포함될 예정이다.
Q26. 기술표준이 적용된 기기의 최대 열 방출량은 어느 정도인가?
WPC: 전자기기 제품에 있어서 열 방출량은 제조업체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WPC는 전력 효율성 기준 및 소비자 안전기준에 미달하는 표준은 채택하지 않는다.
Q27. 기술표준이 적용될 수 있는 기기충전전압 및 전력 등급이 있는지?
WPC: 5W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들에 대해 표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범위 안에서는 기기충전전압 범위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을 것이다.
Q28. 이 기술표준의 실현을 위해 몇 명의 엔지니어가 투입되었나?
WPC: 위원회에 등록된 회원사 모두는 무선전력충전 기술표준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수준의 기술적 노하우를 제공하고 있다.
Q29. 휴대전자기기 충전에 걸리는 시간과 기기 에어 갭(air gap) 크기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나?
WPC: 에어 갭 크기는 전력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충전시간과 큰 연관성은 없다.
Q30. 현재 데이터 전송 지원 기술 성숙도는 어느 정도 단계에 도달해 있나?
WPC: 위원회는 데이터 전송이 아닌 전력 송신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술표준의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는 자기유도기술은 100여 년이 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 그 안정성이 이미 증명됐다. 또한 위원회는 표준 공개에 앞서 광범위한 테스트를 시행해 GSM, 블루투스, 무선랜(WiFi) 등과 같은 데이터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데 있어 어떠한 방해요소도 제거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