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갤럭시S Ⅱ’ 공개, AP는 ‘1GHz’

      [MWC]’갤럭시S Ⅱ’ 공개, AP는 ‘1GHz’에 댓글 닫힘

삼성전자가 전세계 1000만대 이상 팔렸다고 밝힌 자사 스마트폰 ‘갤럭시S’ 후속모델을 선보였다. 이미 국내외 언론을 통해 ‘세느(SEINE)’로 소개된 이 제품은 ‘1.2GHz’라는 당초 전망과 달리 1GHz 듀얼코어 AP를 탑재했다.

삼성전자는 14∼17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1’ 개막에 앞서 ‘스마트 라이프의 지평을 확대한다’는 주제로 13일 열린 ‘삼성 모바일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S 후속제품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갤럭시S Ⅱ(Galaxy S Ⅱ)’는 구글의 최신 안드로이드 OS 2.3(‘진저브레드’)버전에 1GHz 듀얼코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탑재했다. 당초 AP는 듀얼코어로, 1.2GHz 제품이 탑재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관련기사: 갤럭시S 후속 ‘세느’ 관심몰이 성공>

삼성전자가 갤럭시S 후속모델을 'MWC 2011'에서 공개했다. 듀얼코어 1GHz AP를 탑재했으며, 최박형 두께 등이 눈길을 끈다.

또, 갤럭시S보다 14% 커진 화면 크기에 픽셀 구조의 개선으로 가독성을 높인 4.3형(4.27인치) WVGA(800X480)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탑재로 문자, 사진 등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전자책(e-book), 웹서핑, 문서 작업시 화면을 확대 하지 않고도 이용이 가능할 정도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를 통해 해상도 위주의 화소 경쟁을 넘어 선명도, 명암비, 색재현력, 동영상 구동 등 종합 화질 경쟁을 이끌어 간다는 계획이다.
?
특히, 갤럭시S Ⅱ는 갤럭시S의 9.9mm 두께보다 무려 1.4mm 정도를 줄인 8.49mm 두께를 구현해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얇은 초슬림 두께를 자랑한다. 무게도 갤럭시S보다 줄어든 116g의 초경량을 구현, 휴대성을 극대화 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CES 2011’에서 “스마트폰 최초 두께 9mm 벽을 허문”(삼성전자) 8.99mm 두께 ‘삼성 인퓨즈 4G(Samsung Infuse 4G, 모델명: SGH-i997)’를 공개, 스마트폰의 슬림경쟁을 본격화한 바 있다.<관련기사: [CES]스마트폰 ‘초슬림’ 경쟁 점화>

3G망 대비 최대 2배 이상 빠른 HSPA+, 기존 블루투스 2.1 대비 최대 8배 빠른 24Mbps 초고속 블루투스 3.0+HS(High Speed), 최신 와이파이 규격(a/b/g/n) 등 초고속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콘텐츠 서비스인 리더스 허브(도서, 신문, 잡지)/게임 허브(게임)/소셜 허브(SNS 서비스)/뮤직 허브(음악) 등 4대 허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도 특징이다.

이외에도 800만 화소 카메라를 이용한 풀HD(1080P) 동영상 촬영과 재생, TV를 통한 풀HD 감상이 가능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탑재, 16/32GB 대용량 메모리, 정밀한 게임 조작이 가능한 자이로 센서 등을 탑재했다.

무선사업부장 신종균 사장은 “갤럭시S Ⅱ는 삼성전자의 최첨단 기술력으로 탄생된 명품 스마트폰”이라며, “갤럭시S의 명성을 이어가며 차세대 스마트폰의 표준을 제시하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다양한 크기의 화면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새로운 태블릿도 선보였다.

이번에 선보인 ‘갤럭시탭 10.1’은 최신 안드로이드 OS인 허니콤 기반의 태블릿으로 10.1형 (1280X800) 디스플레이, 1GHz 듀얼코어 AP, 800만 화소카메라, 풀HD급 동영상 촬영/재생, 듀얼 서라 운드 스피커 지원을 통해 최고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한다. 더욱 얇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이동성도 극대화했다.

삼성전자는 또 MWC 2011에서 갤럭시탭 후속모델도 공개했다. 이번엔 '10.1인치'다.

작년말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와 시장조사기관들은 전세계 태블릿 수요를 작년 1500만대에서 올해 최대 5천만대, 내년이면 최대 1억대 규모로 늘어나 넷북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MWC 2011’에서 모바일 앱 개발자들을 위해 마련되는 ‘앱 플래닛’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컨퍼런스(ADC) 행사의 하나로 삼성전자의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Bada)’의 개발자 컨퍼런스도 진행한다.

지난해 첫 선을 보인 이후 지속적 업그레이드와 성공적 에코시스템 구축을 통해 삼성전자의 주요 모바일 플랫폼으로 성장한 바다는 이번에 새로운 버전인 ‘바다 2.0’을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대응을 위해 4G 통신 기술인 모바일 와이맥스와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 관련 다양한 시스템도 선보인다.

먼저 4G 기술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의 장점을 보여 주기 위해 3D 동영상과 HD급 고화질 동영상 4개를 동시에 스트리밍하는 시연을 LTE, 모바일 와이맥스 솔루션을 통해 각각 선보인다.

또한 지난 해 미국 수출의 쾌거를 달성한 ‘멀티모달(Multi-modal) 기지국’ 등 대용량 기지국부터 소용량 기지국까지 다양한 4G 라인업을 선보인다. ‘멀티모달 기지국’은 하나의 기지국으로 3G/4G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최첨단 기지국이다.

한편, ‘삼성 모바일 언팩’ 행사에서 신종균 사장은 “올해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원년 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콘텐츠/서비스, 통신 기술 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며 스마트 라이프 시대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MWC 2011’에서 역대 최대인 173평 규모의 전시관을 설치한다.

13일(현지시각) 18시 30분(한국시간 14일 02시30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삼성전자 신제품 공개 행사를 통해 최초로 공개되는 삼성전자의 '갤럭시S2(가운데)'와 '갤럭시탭10.1(좌?우)'

(Visited 46 times, 1 visits today)